언어 능력이나 인지에 문제가 있는 유아의 나이가 어릴수록 그 진단은 매우 어렵다.
중증이 아닌 그게 애매할 때는 더욱 그러하다.
까치발을 들거나 빙글빙글 돌거나 같은 행동을 계속 반복하거나 손을 펄럭이거나 등등 아이가 모든 자폐스펙트럼의 행동을 다 가지고 있으면 그 진단을 의심할만하나, 일부만 갖고 있거나 일부는 괜찮아 보이고 그렇다면 정확한 진단을 하는 데에 시간이 걸리는 듯하다.
36개월이 되어도 정확한 진단이 나오지 않는 경우들도 다수다.
공통적인 부분은
1. 자스, 지적장애, 경계선지능 아동은 모두 언어 능력,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이 모두 떨어진다.
2. 또한 언어가 떨어지다보니 감정 표현이 제대로 되지 않아 떼를 자주 쓴다.
3. 그리고 일부 감각이 예민할 수 있다.(추후 소거 가능하나 기질 문제 있을 수 있음)
4. ADHD인가 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주의가 산만하고 주의집중력이 짧은 경우가 많다.
이런 공통적인 부분이 있다보니 어렵다.
그래서 자폐스펙트럼 진단을 받다가도 소거가 되는 아동은 진단이 바뀌기도 한다.
물론 차이가 있다면
1. 자폐스펙트럼에 속하는 아이는 사회적 참여나 상호작용이 지적장애나 경계선지능을 가진 아이에 비해 떨어진다. 하지만 어릴 수록 판단이 어렵다.
2. 그리고 반복적인 행동, 제한된 관심사에 대한 차이가 있고 역시나 자폐스펙트럼에 속하는 아이가 이 부분이 높긴 한데 역시나 이것도 어릴 수록 판단이 어렵다.
3. 자폐 스펙트럼에 속하는 아이가 어떤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강점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것도 다른 질환을 가진 아이도 마찬가지다.
4. 지적장애와 경계선 지능장애는 지능지수가 가장 큰 특징이지만 자폐스펙트럼은 이러한 부분을 동반하는 경우와 지능 문제가 동반하지 않는 경우로 나뉜다. 물론 지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다수인 듯 보인다.
5. ADHD는 진단이 다른 것들에 비해 조금 더 늦는다.
IQ진단은 웩슬러 검사가 가장 유명한데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가 있고,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가 있다.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4판
2세 6개월 ~7세 7개월 사이의 유아를 대상으로 평가하며, 전체 IQ와 특정 인지 영역의 점수를 제공한다.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5판
6세 0개월부터 16세 11개월 사이 아동의 인지능력을 평가하는 검사
아동 연령에 따라 다른 '판'을 활용하는 듯하다.
이 진단이 나중에 어떻게 나오든 조기 발견과 개입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일단 뭔가 느리다고 판단되면 어릴 때 베일리 검사라는 것을 받게 되는데 그거라도 먼저 신청해서 받아보는 것을 권한다.
그래야 치료를 받을지 말지 방향을 확립할 수 있으며, 다소 잘못된 방향을 가더라도 일찍 개입이 들어간다면 그만큼 일찍 조정이 가능하다. 치료가 답은 아니고 치료한다고 눈에 띄는 발달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하지 않는 것보다는 낫다고 생각한다.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디어와 소리나는 장난감 제외 다른 장난감으로 어떻게 노는지 보는 경험이 필요했다. (0) | 2022.05.04 |
---|---|
자폐 스펙트럼에 대해 마음의 준비를 해야 하는 건지 (0) | 2022.05.03 |
다치지 말고 자라기를… (0) | 2022.05.02 |
고양시 덕양구 보건소 발달장애정밀진단비 청구 (0) | 2022.04.28 |
두 돌 아이 발달 검사 결과를 듣게 되었다. 언어, 인지 발달 지연, 바우처 신청 (0) | 2022.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