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뭐 인터넷 검색하면 여러 가지 어려운 부분이 있지만

 

나는 사실 당직, 숙직 근무가 제일 부담이 된다.

 

18시 이후에는 모든 전화나 소식들이 당직실로 들어오는데

 

내가 아는 분야가 아니기 때문에 좀 스스로 답답한 부분이 없지 않아 있다.

 

그리고 어느 사안에 대해서 언제 출동을 할지 아니면 할지 안 할지

 

부서로 이관을 할지 지금 처리가 가능한지 등등 애매한 것들도 많고

 

날마다 편차가 상당히 크긴 하지만 부담이 너무 상당한 느낌이다.

 

 

당직 서기 싫어서 국가직 시험 준비도 생각해봤을 정도...

 

언젠가 극복이 될까 모르겠지만

 

쉽지 않을 거 같다.

반응형

'jo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직 공무원 지역마다 차이는  (0) 2022.07.07
공무원 인사교류 후기  (0) 2021.01.17

뭐 나도 여기저기 다닌 건 아니지만

 

다른 지역 두 곳을 경험했기에 그냥 느낀 점을 써볼까 한다.

 

 

인사교류를 신청할 때

 

그 '시'에 대한 장점 위주로 보게 된다.

 

 

대부분 지방직 공무원 분들은 우리 시가 제일 힘든 도시 중 하나라고 생각을 한다.

 

내가 전에 있던 곳도 그랬고

 

지금 있는 곳도 마찬가지다. 물론 여기에서는 전국에서라고 생각은 하지 않고 어느 범위에서 우리가 일하는 곳은 힘들다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

 

 

 

나는 음주를 잘 못하는 편이기에

 

회식 문화가 중요했는데...

 

이건 부서장이 술을 얼마나 좋아하는가에 따라 달려있다.

 

술을 좋아해도 어느 시간 되면 확실히 끊은 분들이 있지만 또 저녁 9시 넘어서까지 이어서 하는 분들도 있기 때문에

 

이건 어느 지역이든 케바케다.

 

다만 내 경험상 대부분의 부서장 분들은 술을 잘하셨다.

 

우리나라 정서상 술을 어느 정도하고 분위기 맞추는 것도 어디든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의 도시든 예전에 했던 곳이든...

 

 

 

지방직에서는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있다.

 

새올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전국이 다 똑같는 형태가 아니라는 걸 알았다.

 

디자인도 조금씩 다르고 결제하는 것도 조금씩 달랐다. 그래도 대부분은 비슷해서 이건 적응하는 데에 큰 문제는 없었다.

 

e호조라는 것도 있는데 이건 그냥 똑같은 듯

 

 

 

당직, 숙직은 진짜 너무 힘들다.

 

이전에 있던 곳은 텀도 길고 몇 년 일하다 보니 익숙해졌는데

 

이건 여기가 더 대도시라 그런지 더 힘든 느낌이다.

 

사실 이거 때문에 국가직으로 가고 싶은 생각도 들었고 지금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뭐 갈 능력도 없고...

 

 

눈이나 비가 내릴 때 긴급 투입되거나 그 전 날 비상대기하는 건 어디든 똑같다...

 

장마, 태풍, 폭설 때는 그냥 긴장 타야한다.

 

어떤 해에는 밤새 비상대기만 하루 건너 계속 할 때도 있었다.

 

 

대도시로 오면 이미 다 개발된 상태이기 때문에

 

부서마다 다르겠지만 맨땅에 헤딩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적은데

 

더 업무를 세부적으로 한다고 해야하나 그런 걸 좀 느꼈다.

 

 

 

작은 도시에서 큰 도시로 온다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니라는 것

 

교통수단이 편한 부분은 확실히 이점이다.

 

이전엔 차 없으면 생활이 안 되었는데 그건 벗어났으니...

 

작은 도시에서는 운전 능력이 필수... 뭐 미리 운전 배우지 못했더라도 알아서 느끼게 된다...ㅋㅋ

 

 

 

반응형

'job'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생각하는 지방직 공무원의 큰 단점 중 하나는...  (0) 2024.02.04
공무원 인사교류 후기  (0) 2021.01.17

나는 A시에서 B시(훨씬 큰 도시)로 오게 되었다.

 

나라일터를 통한 인사교류였다.

 

 

인사교류의 과정은

 

1. 나라일터나 기타 사이트를 통해서 교류할 사람을 구한다.

2. 인사 담당자에게 이야기 한다.

3. A시 인사담당자와 B시 인사담당자가 협의를 한다.

4. 면접 시기를 각각 조율한 후

5. 면접을 보고 통보를 받는다.

 

위와 같다.

 

 

나는 이 과정이 거의 2년 걸렸다. 정확하게는 1년 10개월?

 

구하는 데에 1년

그리고 2~5번까지 10개월이 걸린 셈인데

 

2~3에서 엄청난 시간이 걸렸다.

 

난 결혼 후 거주지를 옮겨서 출퇴근 왕복 3시간 이상이 걸려서

이동이 필요는데

 

내가 근무하고 있었던 시의 인사 담당자 분이 협조를 잘 해주지 않아서

진행이 되지 않았다.

 

그러다가 인사 담당자 분이 바뀌셨고 도움을 주셔서 겨우 성공하게 되었다.

 

 

인사 교류를 하기 위해서는

우선 '급'이 맞아야 하고

'근무 경력', '나이', '성별'을 골고루 본다.

 

'급', '나이 비슷' '성별'은 가능하면 맞추는 게 좋다.

 

 

그리고 나라일터에서 서로 승인 버튼 누르게 되면

양 기관으로 공문이 가게 되는데

 

그걸로 안심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 이후로는 지자체 재량이기 때문에 그때부터 시작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인사 담당자의 협조와 운이 따라주면 몇 개월 내에도 가능하지만

나는 양 기관의 공문 이후 거의 10개월 뒤에나 교류를 하였으니...

 

서로 합의한 이후부터 운이 잘 따라주기를 바라는 수밖에 없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