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떤 것을 목표로 했을 때

 

대부분 인터넷 검색이나 후기 등을 통해

 

다른 사람들은 어떤 방식으로 공부를 했는지 나아갔는지 알아보곤 한다.

 

 

그런데 항상 나는 그 방식으로 해서 성공한 적이 별로 없었던 거 같다.

 

수능도 망쳤고 군대 갔다와서 군인 정신으로 겨우겨우 서울 하위권 대학에 들어가서 겨우 졸업했고

 

외국어 잘하는 것은 나의 로망인데 그것도 잘 안 되고

 

천일문도 해보고 아침에 영어 학원도 다녀봤지만 제대로 되는 게 없었다.

 

 

암기력이 약한 터라 대학교 시절에도 암기 과목은

 

학교 도서관에서 밤을 새워 공부를 해도 학점이 별로였다.

 

그나마 발표 수업에서는 좀 강점을 보여서 그걸로 메우긴 했지만...

 

 

뭔가 항상 남들의 130%~150%노력을 해야 남들만큼 따라가는 느낌이 들었다.

 

내 친구도

 

"지금은 너가 잘 됐지만(잘 된 건가...) 노력은 너가 참 많이 했는데 그만큼 안 따라준 거 같다."라고 말할 정도다.

 

그냥 들으면 빡칠지 모르겠지만 난 나름대로 그런 거 같아서 참ㅋㅋ

 

 

어떤 방법을 통해 내가 목표한 것에 대해 하나 이룬 게 있다면

 

공무원 시장에서 한동안 인기를 끌었던 "아공법"이란 게 있었다.

 

믿는 둥 마는 둥 약간 그걸 변형해서 따라가봤다. 나만의 변형이라고나 할까...

 

 

그게 지금의 나의 직업을 만들어 주었다.

 

유일하게 따라가보고 성공했던 기억....?

 

 

 

토익, 오픽, 토플 그리고 기타 각종 시험들...

 

남들이 했던 성공의 맛을 나는 거의 볼 수 없었다.

 

 

건망증도 심하고 암기력이 좀 뒤쳐져서 내가 업무적으로 팀에 폐를 끼칠까 걱정되었는데

 

그나마 내가 자신 있는 건 최신 기기나 컴퓨터 다루는 거라서

 

노션이나 각종 소프트웨어의 도움을 받아서 그나마 무난하게 일을 처리하고 있다.

 

부서 기기에 문제가 생기면 전산팀 부르기 전에 나를 시키게 되는... 부분도 있지만 뭐 난 그런 해결 자체를 좋아해서...

 

 

여하튼

 

지금은 육아휴직 중인데

 

육아휴직 중에 나의 가치를 높여보고 싶고 외국어도 잘하고 싶었는데

 

그게 잘 되지 않아서...

 

끄적 끄적...

 

 

나도 무언가의 전문가가 되고 싶은데 더 노력해야 하나보다.

 

공무원도 앞으로 선호도가 떨어질 수 있고 연금은 기대를 안 하는 편이 나으니...

 

나를 더 발전시켜야 하는데 꿈만 크다ㅠ

 

관심사는 겁나 많은데 집중을 못하는 나의 문제가 클지도...

 

생각해보면 내가 힘들었다는 노력이 성공한 사람들에겐 별 거 아니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