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말이 늦을 때 어떻게 해야 할지...
우리 아이는 23개월이다.
그런데 말을 엄마 아빠 밖에 못한다.
싫으면 아이! 아이!! 그리고 나머지는 외계어다.
고민이 되어 유튜브 검색을 해봤다.
[아이가 말이 늦을 때 우리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https://www.youtube.com/watch?v=T-5lSGEADk0&list=PLfHy0yUxjFP7SFxTyM6RBZt5QE4OzgPqL&index=18
내용은 간략하게 말하면
대개 아이들이 말이 늦는 것, 단순 언어 발달 지연은 부모의 유전적 특성을 닮는다.
부모 중 한 명이 말이 늦었지만 나중에 말을 잘하게 되더라도
현재 말이 늦으면 언어 치료가 필요하다.
이 아이가 나중에 말을 아주 잘하게 되었을 때도
현재 언어 지연이 맞다면 언어 치료를 하는 게 옳으며, 그것이 합당한 결정이다.
그 이유는 아이가 말이 느리면 그것으로 인한 문제들이 따라오기 때문이다.
지능이 정상임에도 말이 늦으면 인지 발달이 늦어지며, 표현하고 싶은 것은 많지만 말이 되지 않으면
성질을 낼 가능성이 높다. 소리도 지른다.
또한 친구들과의 관계에서도 어려움이 따르게 되기에 놀 기회도 줄어들고 악순환의 반복.
그래서 언어는 가르쳐야 하며 가르쳤을 때 훨씬 잘 배우고 빠르게 배운다.
이것이 주된 내용이다.
그럼 어떻게 가르치면 좋을까...
이것에 대해서도 따로 나오는데
[여러분은 우리 아이의 [언어발달 교육] 어떻게 하고 있나요?]
https://www.youtube.com/watch?v=lrtwpCD8o-w
영상 중후반부(09:50)부터 좋은 예시가 나온다.
언어 자극에 가장 중요한 것은 생활 속에서 아이에게 반 걸음 뒤에서 아이가 하는 행동, 아이가 하는 감정의 표현, 아이의 관심, 아이의 의도, 아이의 정서 반응에 말로 반응해주는 것이다.
아이의 행동과 생활에 끊임없이 반 걸음 뒤에서 언어적 연결을 해주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이것을 부모가 직접 생 목소리로 뒤통수에서 이야기 하지 말고 아이와 눈을 맞추고 한다면 아이의 언어 발달에 도움이 아주 많이 된다.
예시는 영상에 자세히 나와있다.
나는 수다스러운 편이 아닌데... 과연 내가 할 수 있을까ㅠ
'육아 > 오은영 선생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쪽같은 내새끼 85화(ADHD, 지적장애) (0) | 2024.09.27 |
---|---|
요즘 육아 금쪽같은 내새끼 오은영 선생님 말씀(2020. 12. 18.) (0) | 2022.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