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아이는 침대 낙상사고가 4~5번 욕조 미끄러짐이 1번 있었다.

당시 너무 걱정했던 기억이 있는데

 

이에 한 번 정리를 해보았다.

 

뇌손상은 아이들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수없이 일어날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 특별한 교육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뇌는 손상된 부분을 자연스럽게 치유하고 보충하는 놀라운 능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Heward 2006).

대부분의 아동이 지니고 있는 뇌손상은 경미하여 교육에 불리하게 작용할만큼 심하지 않으며

외상성 뇌손상 장애인의 출현율은 100만 명에 1명꼴로 나타난다고 한다.(Heller, Alberto, Forney, & Schwartzman, 1996)

 

경미한 뇌손상을 입은 아동들은 학습장애, 정서장애, 행동장애 등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아동의 뇌손상의 특징

아동의 뇌손상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출생 전, 출산 과정, 그리고 출생 후에도 뇌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뇌가 자연적으로 손상을 치유하고 보충하는 능력이 있어 회복이 잘 되기 때문에 특수교육까지 필요하지 않는다.

 

뇌손상 영유아의 증상

뇌손상을 입은 영유아는 두통, 감각 문제, 혼돈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의사소통 기술이 부족해 이런 증상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한 외상성 뇌손상을 입은 아동의 변화는 아래와 같다.

젖병 수유나 식습관 변화,

쉽게 짜증내기,

주의 집중력 변화,

수면 습관 변화,

달래기 어려움

 

선천성 뇌손상의 원인

선천성 뇌손상은 출산 전에 발생한 뇌손상을 말한다.

유전 결함, 감염, 독극물, 부주의로 인한 사고, 산소결핍증, 외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지적장애, 뇌성마비, 뇌전증, 자폐 등 다양한 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출산 과정에서의 뇌손상 위험

조산이나 저체중아 출산도 뇌성마비 등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출산 시 탯줄이 엉켜 산소공급이 원활하지 않거나, 인공분만 과정에서 뇌에 직접적인 상처를 입을 수도 있다.

 

환경오염과 뇌손상

현대사회의 심각한 문제 중 하나는 환경오염으로 인한 뇌손상이다.

수은, 납 등의 중금속, 방사선, 핵물질 등에 노출되면 뇌에 심각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어린 아동일수록 신경계에 더 큰 영향을 받게 된다.

 

아동 뇌손상의 예방과 치료

아동의 뇌손상은 예방이 중요하다. 산모의 건강관리, 안전한 출산, 유해물질 노출 최소화 등이 필요하다.

뇌손상이 의심되면 빠른 진단과 치료가 이뤄져야 한다.

발달 과정에서 적절한 중재와 교육을 통해 아동이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있도록 도와야 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