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장애 학생은 모방과 우발학습 능력이 부족하고, 학습한 내용을 다른 상황에 적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 우발학습(incidential learning): 다른 기능이나 개념 혹은 다른 상황으로 전이하거나 일반화 하는 것과 관계가 있음.
우발학습 능력이 부족하면 새로운 작업, 상황, 환경으로 지식이나 기술을 일반화하거나 이전 경험을 새로운 상황에서 사용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다.
교사와 부모는 지적장애가 심한 학생들이 모방, 우발학습이 떨어진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지적장애 학생들의 낮은 학업 성취는 주의력 집중 문제, 지능 문제, 인지처리 특성, 언어 발달 지체 등과 관련이 있다.
특히 수학과, 읽기 이해 영역이 가장 취약하다.
하지만 역할놀이, 모델링 등 적합한 전략을 선택하면 반복적인 학습을 통해 기술 발달이 가능하다.
지적장애 학생들의 언어발달 지체는 학업 성취에 어려움을 더 증가시키는데
특히 지적장애 학생은 읽기 이래영역이 가장 취약하다.
지적장애 학생의 국어 교육을 위해서는 단순히 내용을 쉽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강도 높은 중재가 필요하다.
*중재(intervention): 과제의 목표 달성을 위하여 학생이나 피험자를 돕는 일련의 도움 활동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국어 교육 전략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제안되고 있다.
- 일견단어 학습
- SQ3R 독해전략 활용
- 반복읽기 훈련
- 빠른이름대기 훈련
- 흥미를 반영한 쓰기 활동
- 자기조절전략 활용
- 독서지도 프로그램과 교과서 연계
- 이야기문법 중심의 언어중재
- 인터넷 신문 활용
- 반복 학습형 CAI 프로그램 활용
- 북윔앱을 활용한 직접 교수
이러한 전략들을 활용하여 지적장애 학생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교육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교사와 부모는 지적장애 학생에게 모방과 우발학습의 기회를 충분히 제공해야 한다.
지적장애 학생의 국어 교육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꾸준한 노력과 지원이 필요하다. 다양한 전략을 활용하여 학생의 강점을 살리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육아 > 지적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적장애 학생, 어떻게 이해할까? (0) | 2024.10.27 |
---|---|
지적장애 아동의 언어발달 및 의사소통 특성 이해하기 (0) | 2024.03.27 |
지적장애 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 통제소 특성 이해 (0) | 2024.03.21 |
아동의 뇌손상, 원인과 증상 (0) | 2024.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