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대표팀에 대해서 말이 많이 나온다.

 

물론 언론이 뿌려대는 기사는 전부 믿을 게 못 된다고 생각한다.

 

다만 어느 정도 확실한 내용은 

 

대표팀 내 분위기가 좋지 않았다는 사실과

 

감독의 무전술 및 규율에 대한 허점, 방관적인 태도, 그리고 축구협회 회장 문제라는 것이다.

 

 

이번에 읽은 히든 포텐셜(Hidden Potential)에 나온 논문 중 하나가 있다.

 

Christoph Riedl, Young Ji Kim, Pranav Gupta, Thomas W.Malone, and Anita Williams Woolley, "Quantifying Collective Intelligence in Human Groups," PNAS118 no.21(2021)

 

이 내용은 하나의 팀 구성원의 지능이 전부 뛰어난 사람이라고 해서 그 성과도 뛰어나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라는 것

 

이걸 대표팀에 빗대어 보면

 

위 논문의 연구는 5279명의 개인과 1356개의 집단에 관한 22개의 연구 데이터를 분석한 것이다.

 

내용은 개별 구성원의 기술보다 집단 협업 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 분석은 효과적인 집단 협업과 성능의 기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하며, 다양한 맥락에서 팀을 형성하고 관리하는 데 실질적인 함의를 제시한다.


2024년 2월, 대한민국이 요르단에게 패배한 사건을 이 논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보면 우리나라 대표팀의 패배는 선수들 간의 다툼, 감독의 무책임한 관망 등 내부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 

논문에 따르면, 집단의 성능은 그 구성원의 사회적 인지 능력, 즉 서로의 감정과 생각을 이해하고 반응하는 능력에 크게 의존한다. 대한민국 대표팀 내에서 발생한 선수들 간의 다툼은 팀 내 사회적 인지 부분에서는 아쉬운 부분이 있다는 생각이다. 팀원들 사이의 이해와 소통이 원활하지 않았던 것이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다.

효과적인 집단 협업은 개별 구성원의 기술이나 능력을 넘어서는 결과를 낼 수 있다. 하지만 감독의 무책임한 관망과 같은 리더십의 부재는 협업 과정을 방해하고 집단 지능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감독과 코칭 스태프가 협업을 촉진하고, 갈등을 중재하며, 모든 선수가 공통의 목표를 향해 노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한데 그것이 실패했다고 볼 수 있다.

반응형

이번 달에는 친구의 추천으로 이 책을 직접 구매하여 읽게 되었다.

 

지하철에서만 읽었는데 보름 정도 걸린 듯하다.

 

내 딸에게도 도움이 될까 해서 읽었는데 자녀 교육에 대해서는 크게 다루지는 않았다.

 

다만 성공하기 위한 마인드셋에 대한 이야기로 오래간만에 자기 성장에 대한 것을 읽어본 듯하다.

 

 

이 책은 개인의 잠재력과 성장을 추구하는 데에 있어 많은 이야기를 제공한다. 어렵지 않고 쉽게 쓰여진 책이고 그래서 그런지 쉽게 읽힌다는 점이 정말 큰 장점으로 다가왔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본인의 이야기에 설득력을 부여했고

개인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준다.

 

특히

"잠재력은 어디서부터 시작하느냐가 아니라 얼마나 멀리 가느냐에 달려있다." (15페이지)부터 마음에 와닿기 시작했고

"품성기량"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다.

이 책에서는 "품성기량"의 중요성에 대해서 특히 강조한다.

성격은 우리가 지닌 성질이나 경향이고 품성은 우리의 본능보다 가치를 우선시하는 역량이다.

품성의 진정한 시험대는 상황이 우리에게 불리할 때 그러한 가치들을 지킬 수 있는지가 관건이라는 것이다.

 

흠... 그리고

나는 자책을 좀 하는 편인데 자책한다고 해서 더 강해지는 것도 아니다라는 부분에서 나를 조금 더 생각할 수 있는  부분도 있었다.

 

교육에 있어서는 독서에 대한 부분이 와닿았고 핀란드 교육에 대해서도 여러 이야기를 할애하는데 나중에 조금 더 자세히 다시 한번 봐야겠다.

 

보통 나는 지하철에서 이북을 읽는데 이번에는 직접 종이책으로 구매해서 읽었다. 300여 페이지의 두께는 들고 다니기에도 무겁지 않고 좋았다. 이 정도 페이지라면 들고 다니면서 읽기에 가능하구나. 충분히 구매할 가치가 있다.라고 생각한다.

 

굳이 별점 같은 걸 매기고 싶진 않고

어떻게 보면 뻔한 이야기의 나열이라고 생각할 수 있기도 하지만

우선 정말 가독성이 좋게 쓰여진 것과, 다시 한 번 나에 대해 그리고 자기 발전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다는 부분에 좋은 점수를 주고 싶다.

 


아래는 읽다가 메모한 부분이다.

 

 

 

  • 잠재력은 출발점이 아니라 얼마나 멀리 갈 수 있느냐이다.
  • 얼마나 열심히 하느냐가 아니라 얼마나 성장하느냐가 관건이다.
  • 성격은 평상시에 어떻게 반응하는지이고, 품성은 어려운 때에 어떻게 대응하는지이다.
  • 학습은 '지식 → 편안함 → 연습 → 진전'이 아니라 '지식 → 연습 → 불편함 → 더 많은 연습 → 지식 → 연습 → 불편함 → 더 많은 연습 → 진전 → 편안함 → 더 많은 연습 → 진전 → 편안함'이다.
  • 성장은 열심히 노력하느냐가 아니라 얼마나 잘 배우느냐가 관건이다.
  • 피드백을 구하기보다는 조언을 구하는 게 더 바람직하다.
  • 자책한다고 더 강해지지 않는다. 우리는 단점이 있다고 벌을 주기보다 단점을 받아들임으로써 성장한다.
  • 성공은 여러분이 얼마나 완벽함에 가까이 근접했는지가 아니라 성공을 향한 여정에서 얼마나 많은 장애물을 극복했는지로 가늠한다.
  • 모든 사람을 만족시키기는 불가능하다. 누구를 실망해도 괜찮은지 판단하는 게 관건이다.
  • 다른 사람의 인정을 받고자 하는 욕구는 끝도 한도 없다. 지위를 추구하게 되면 결코 만족하지 못하게 된다.(다만 외적 평가가 성자의 도구로 소용이 있다면 이용할 가치가 있을지 모른다.)
  • 우리가 지닌 기량을 개발하려면 오랜 시간 동안 지루하고 따분한 연습을 견뎌내야 한다는 말을 종종 듣는다. 그러나 숨은 잠재력을 끌어내는 최고의  방법은 지루한 일상을 견뎌내기보다 일상적인 반복을 일상적인 즐거움의 원천으로 전환하는 방법이다.
  • 위대한 업적을 달성하려면 계획적인 연습이 필요하지만, 너무 무리해서 연습한 나머지 자기가 하는 활동에서 즐거움을 못 느끼고 강박적으로 하는 악전고투로 변해서는 안 된다.
  • 지식이 풍부한 동룍들과 함께 공부하면 성장을 촉진한다는 증거가 상당하다.
  • 진전을 이룬다고 해서 반드시 앞으로 나아간다는 뜻은 아니다. 때로는 후퇴해야 한다. 회복탄력성은 성장의 한 유형이다.
  • 독서에 대한 애정은 가정에서 시작된다.
  • 데이터를 보면 집단 지성은 구성원 개인의 지능 지수와 거의 무관하다. 가장 똑똑한 팀은 가장 똑똑한 개인들로 구성되지 않았다.
  • 22개 연구의 메타 분석에서, 최고의 팀은 가장 친화적인 구성원들로 구성되었다. 다른 사람들과 협력하는 역량이 뛰어난 사람들이다.
  • 사람들이 얼마나 오랫동안 특정한 일을 했는지가 아니라 특정한 일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량을 얼마나 잘 습득할 역량이 있는지가 관건이다.
  • 성공은 자신이 애초에 지닌 역량이 아니라 배우고자 하는 역량과 동기가 좌우한다.
  • 가장 의미 있는 성장은 경력을 쌓는 게 아니라 품성을 쌓는 일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