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경계선 지능 관련
경계선 지능 아동의 특성
zinedinesta
2024. 1. 27. 02:45
경계선 지능 관련 공부를 해봐야 겠다고 생각해서 아이에 대한 책과 논문을 읽고 정리해 보았다.
경계선 지능 장애 아동의 특성
- 언어 표현력의 한계: 이 아이들은 언어 이해능력에 비해 언어 표현력이 떨어질 수 있다. 자신의 생각을 말로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 이들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 맺기나 사회적 상황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또래 아이들과의 관계 형성에서도 어려움을 경험한다.
- 학습 과정의 도전: 경계선 지능 장애 아동들은 학습 과정에서도 어려움을 겪는다. 기본적인 어휘 학습부터 시작해, 새로운 개념을 이해하는 데 시간이 더 필요할 수 있다.
- 사회적 기술의 부족: 이 아이들은 사회적 기술을 배우고 익히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는 또래 관계 형성과 집단 내에서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서적 특성
- 단순한 조언에 대해서도 혼났다고 인식
- 상대방을 쉽게 용서
- 눈치가 부족
- 낮은 지능으로 인한 산만함
그 외 특성
- 지시를 되풀이 해서 말해달라고 여러 번 요구
- 청각 집중력이 떨어짐
- 정교한 활동에 서투름
- 쉽게 산만해짐
- 쉽게 떼를 쓰는 모습이 보임
- 규칙 이해하기 어려워 함
- 다른 아이들을 방해
- 발음이 부정확하고 생각 표현이 어려움
- 읽기, 쓰기, 연산, 받아쓰기 등 성취가 또래보다 낮음
- 또래에게 인기가 없음
- 대소변 가리기가 늦음
- 식습관이 까다로움
경계선 지능 장애와 다른 장애의 차이점
- ADHD와의 차이: ADHD는 뇌 기질적 원인 또는 환경적 요인으로 인한 주의력 부족과 산만함이 특징인 반면, 경계선 지능 장애는 주로 지능 수준이 낮아 이러한 현상이 보임
- 학습장애와의 차이: 학습장애 아동들은 일반적으로 추상적 사고와 전반적인 이해력에서 큰 어려움을 보이지 않지만, 경계선 지능 장애 아동들은 이러한 영역에서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 지적장애와의 차이: 지적장애는 IQ70이하의 아이들로, 보통 특수학교나 일반 학교의 특수 학급에 배치됨.
반응형